기준금리 vs 시중금리, 왜 다를까? 초보도 이해하는 금리 구조
은행 대출 이자율이 6%인데, 뉴스에서는 기준금리 3.5%라고 하죠.
“기준금리가 낮은데 왜 대출이자는 높은 걸까?”
금리 뉴스는 자주 보지만, ‘기준금리’와 ‘시중금리’의 차이를 정확히 이해하는 사람은 많지 않습니다.
오늘은 금융 초보자도 한 번에 이해할 수 있도록 금리 구조의 핵심 차이를 정리해 드릴게요.
기준금리란 무엇인가?
기준금리는 한국은행이 금융시장을 조절하기 위해 설정한 중심 금리입니다.
쉽게 말해, 시중은행들이 한국은행에서 돈을 빌릴 때 적용되는 금리죠.
이 금리가 올라가면
→ 시중은행의 자금 조달 비용이 올라가고
→ 결국 대출금리·예금금리도 따라 올라갑니다.
기준금리는 왜 중요할까?
- 통화정책 도구: 한국은행은 기준금리로 경기 과열이나 침체를 조절합니다.
- 금융시장 영향: 채권, 주식, 부동산 등 자산 가격에도 큰 영향을 줍니다.
- 소비·투자 조절: 대출이자와 예금이율에 영향을 주므로 소비자 지출과 기업 투자에도 연결됩니다.
시중금리란 무엇인가?
시중금리는 우리가 실제로 은행에서 대출을 받거나 예금을 할 때 적용되는 금리입니다.
즉, 기준금리를 바탕으로 은행이 자체적으로 정하는 금리입니다.
시중금리는 다음과 같은 요소에 따라 결정됩니다.
시중금리를 결정하는 3가지 요소
- 기준금리 – 한국은행이 발표하는 기준
- 가산금리(마진) – 은행이 붙이는 위험도·수익 마진
- 시장 상황 – 수요/공급, 신용 등급, 경제 전망 등
예를 들어, 기준금리가 3.5% 일 때
→ 은행은 여기에 +α(1.53%)의 가산금리를 더해서
→ 실제 적용 시중금리는 56% 대가 되는 구조입니다.
한눈에 보는 기준금리 vs 시중금리 차이
실생활 예시: 기준금리와 시중금리의 관계
사례 ① – 대출 금리
기준금리 인상 → 시중은행 자금 조달 비용 상승 → 대출이자 상승
소비자는 주택담보대출, 신용대출 등의 이자가 높아져 부담 증가
사례 ② – 예금 금리
기준금리 인상 → 예금금리도 상승 → 정기예금 유리해짐
반대로 기준금리 인하 시, 고금리 예금 찾기 어려워짐
최근 흐름: 기준금리는 동결, 시중금리는 유지
2025년 5월 기준, 한국은행 기준금리는 3.50%로 동결 상태입니다.
하지만 시중 대출금리는 여전히 5~6%대를 유지하고 있습니다.
이는 ▲기준금리 인하 기대감 부족 ▲은행의 수익성 유지 전략 ▲시장 유동성 불균형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입니다.
즉, 기준금리가 바로 내려간다고 해서 우리 대출이자도 바로 내려가진 않는다는 뜻입니다.
[기준금리 동결이 시장에 미치는 영향 알아보기]
https://leaveriv.tistory.com/58
기준금리 동결이 시장에 미치는 실제 영향
2025년 5월, 한국은행은 기준금리를 3.50%로 세 번째 연속 동결했습니다.금리 인하에 대한 기대감은 있었지만, 물가 상승률과 미국 연준의 통화정책을 고려한 ‘신중한 동결’로 해석되죠.많은 투
leaveriv.tistory.com
금리 뉴스, 숫자보다 구조를 이해하자
기준금리는 경제의 방향을 보여주는 정부의 ‘시그널’이고, 시중금리는 실제 우리의 지갑에 영향을 주는 현실적인 체감금리입니다.
금리 뉴스가 나올 때마다 헷갈렸던 분들은
오늘 글을 통해 그 구조와 차이를 확실히 이해하셨을 거라 생각합니다.
이제부터는 숫자보다 구조를 먼저 보는 습관, 꼭 가져보세요.
출처
-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 금리 발표자료
- KB국민은행 금리 공시 (2025.05 기준)
- 금융감독원 금융상품 비교 공시
- 신한은행·우리은행 대출금리 기준
- 서울경제 / 연합뉴스 금리 보도자료
[미국 국채 금리 상승의 영향과 투자 전략]
https://leaveriv.tistory.com/51
미국 국채 금리 상승의 영향과 투자 전략 (2025년 5월 기준)
“미국 국채 금리가 오르면, 주식시장은 왜 흔들릴까?”1. 미국 국채 금리란?미국 국채 금리는 미국 정부가 발행하는 국채에 붙는 이자율을 의미합니다.미국 정부의 신용도가 매우 높기 때문에
leaveriv.tistory.com
[청년 전세자금대출 알아보기]
https://leaveriv.tistory.com/66
청년 전세자금대출, 금리 인하 전 체크리스트
2025년 하반기, 기준금리 인하 가능성이 점쳐지며 많은 청년들이 대출을 ‘기다리는 중’입니다.하지만 금리 인하를 기다리는 사이, 더 중요한 기회를 놓칠 수도 있다는 사실, 알고 계신가요?특
leaveriv.tistory.com